도시 농업
HOME    HOME   >   도시 농업   >   상품과 상작 이란?

상품(上品)과 상작(上作) 이란?

우리 난계는 역사가 깊어 40년을 바라봅니다. 저의 경우 난초를 기르는 궁극적인 목적은 즐겁고 ≪행복한 삶≫을 살다가 죽는 것이라 말 하고 싶습니다. 행복해 지려면 돈을 잘 벌어야 합니다. 돈이 잘 벌려야 가족의 삶의 질도 높아집니다. 참고로 저는 26년 전 만 21세의 나이에 70만원으로 난계에 뛰어들어 지금에는 5,000배의 가치로 회사를 성장 시켰습니다.

여러분 난을 길러 돈을 잘 벌려면 어떻게 하여야 할 까요? 여러 경제학자들은 지금의 세계는 무한 경쟁의 시대라 말 합니다. 우리 난계도 마찬가지로 무한 경쟁에서 살아남는 자만이 행복을 맛 볼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저는 난 농장을 경영하는 사람입니다. 난을 경쟁자들 보다 더 잘 기르지 못한다면 행복한 삶과 이상의 실현은 불가능 할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경쟁자들 보다 난을 더 잘 기르려고 긴 세월 동안 도재식과 대학, 대학원과 여러 학회, 독학 및 벤치마킹 등을 주경야독해 왔습니다. 경쟁자들이 잠잘 때 저는 재배 생리와 해부학 책을 보았습니다.

이렇게 한 세월 20여년이 싸여서 난초를 누구보다도 더 잘 기를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저는 행복한 농부가 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 저는 상술과 자본이 아닌 신용이란 보이지 않는 초심과 오로지 상작과 상품을 생산 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이 자리에 서게 되었습니다. 이 후 저의 행복 스토리는 KBS, MBC, SBS 방송과 조선일보, 동아일보, 서울신문, 코리아 타임즈, 헤럴드경재, 등 언론 매체로 많이 보도가 되었습니다.

한국춘란에 있어 작황별 등급표 한국춘란에 있어 작황별 등급표

한국춘란에 있어 상작이란 농사가 잘 지어진 난초를 뜻하고, 무병에 젊고 건강하며 튼실한 난초를 말합니다.
자 여러분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상작이란 무엇일까요?
    ○ 바이러스 프리 묘.
    ○ 무 병증 무 감염 묘(푸사리움, 라아족토니아, 어위니아, 탄저, 엽고, 흑점 프리).
    ○ 잎 장 수 5장 이상 뿌리 5가닥(정상적인 길이 도달) 이상
    ○ 액아가 80% 이상 보존.
    ○ 신근 생장점 정상.
    ○ 영양(건강)상태 양호.
    ○ 웃자람 프리.
    ○ 무 촉성의 자연 재배.
이어야 합니다.

한국춘란에 있어 상품이란 특 상품, 상품, 중품, 하품, 품 외로 구별하며, DNA와 표현형이 반드시 일치하여야하고, 일반적인 난초에 비해 등급(시장성)이 높은 명 품종 이며, 무 병증에 젊고 건강하며 튼실하여야 하며 의 난초를 말합니다.
자 여러분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상품이란 무엇일까요?
    ○ DNA일치와 표현형의 일치(眞.僞 성).
    ○ 바이러스 프리 묘.
    ○ 무병증 묘(푸사리움, 라아족토니아, 어위니아, 탄저, 엽고, 흑점 프리).
    ○ 잎장 수 정 5장 이상 뿌리 잎 길이만큼의 뿌리 길이로 5가닥이상.
    ○ 3년생 이내.
    ○ 액아가 80% 이상 보존.
    ○ 신근 생장점 정상.
    ○ 벌브 및 색상 양호.
    ○ 품종특성발현 80%이상.
    ○ 무 촉성 의 자연 재배.
    ○ 웃자람 프리.
    ○ 엽록소 컨디션 양호.
이어야 합니다.

상품으로 길렀다 하나 상작이 아니거나, 상작으로 길렀다 하나 상품이 아니면, 만족스런 결과를 만들기가 어렵게 됩니다. 아쉽게도 우리난계는 상품에 상작을 생산해 내는 농가나 애호가들은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

자 여러분 그렇다면 다른 작물의 세계를 한번 볼까요?
한 송이에 300원 미만인 장미농가들도 죽자 사자 사활을 걸고 농사와 공부를 하는데........ 우리 현실은 어떻습니까? 이분들에 비해 상품과 상작을 생산하는 기술이 얼마나 있을까요? 또 우리는 그분들에 비해 얼마나 공부하고 연구했을까요? 나름 공부를 개을리 하지 않는 저도 50%도 채 못 미친다고 봅니다. 이나마도 하지 않는 분들은 어떻게 만족도가 생길수 있겠습니까?

시설원예 또는 특수작물 생산에서 상품과 상작을 생산할 기술과 생산 기반이 갖추어지지 않았다면, 딱 두해면 폐농하게 됩니다. 다른 경쟁자들과의 경쟁에서 밀려서 그렇게 됩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대부분의 난 농가나 애호가들이 비슷한 처지와 환경에 놓여서 그 나마 버텨 온 것인지도 모를 일입니다.

한국 최초로 주경야독해 학․석․박사학위를 공부하여 대한민국농업기술명장의 위를 받고, 현재 원예과교수로 제임 하고 있는 필자도 어떻게 하면 1%라도 상작과 상품을 생산 해, 경쟁자들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는 작년(2014) 연구차 대만인근의 불리에 있는 농장들을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입이 벌어져 다물어 지지 않는 광경을 목격했습니다. 축구장 크기의 반 정도 되는 유리온실에서 자라는 수 만분의 중투를 보았는데 그 많은 약 삼십만 촉에 달하는 난들의 생육상은 모두가 상작에 상품이었습니다. 도대체 얼마나 공부하고 몰두하고 실패를 거듭했으면 이럴 수가 있을까? 너무 놀랐었습니다. 또한, 옆 온실은 한국으로 수출 하려고 준비해 기른다는 춘란 심 복륜이 있었는데 5-6만촉을 되 보였고 두화도 아주 많이 기르고 있었습니다. 저의 생산 기술보다는 비교가 안 되었습니다.

저를 포함 한 여러분들.........
평당 경작지에서 고작 10만원의 소득을 올리는 장미농가들을 타산지석의 거울로 삶는 건 어떨까요?
오늘보지 않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