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유정 커뮤니티
HOME    HOME   >   관유정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목으로 넘어가는 콧물. 먹어도 괜찮을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갯바위 작성일12-03-20 00:10 조회10,048회 댓글10건

본문

목으로 넘어가는 콧물, 먹어도 괜찮을까?

▲ 사진-조선일보 DB

일교차가 심한 날씨에 감기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약을 먹어도 낫지 않고 기침이 지속된다면 감기 아닌 다른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만성기침 환자 10명 중 2명은 이비인후과 질환

기침은 이물질이 코로 들어왔을 때 이를 내보내는 역할을 하지만, 오래 지속되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준다. 사회생활, 여가시간, 수면 등 활동 전반에 걸쳐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이는 신체적인 피로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3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기침은 원인이 다양하고 진단도 어려워 여러 진료과에 걸쳐 검사가 이뤄지는데, 이 가운데 코나 목 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 국내 한 연구에 따르면 만성기침 환자 10명 중 2명은 이비인후과 질환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질환별로 살펴보면 만성 축농증이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알레르기비염, 역류성인후염 순이었다. 이때 하나의 질환에 의해 만성기침이 발생한 경우도 있었지만 2개 이상의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았다.

◇축농증·비염으로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며 기관지 자극

만성기침을 유발하는 이비인후과 질환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축농증과 알레르기비염이다. 축농증은 누런 콧물이나 코 막힘, 알레르기비염은 맑은 콧물과 재채기 등이 주요 증상으로 꼽히지만 만성기침도 그 중 하나이다. 이는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 증상 때문인데, 이 과정에서 콧물이 기관지를 자극해 기침이 나온다. 목이 간질간질하고 이물감이 느껴져 기침을 계속 하게 되는 것.

기침이 3주 이상 계속되는 만성기침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미 후비루 증상이 심해진 것으로, 축농증이 만성으로 진행됐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콧물이 생기기 때문에 후비루도 더욱 심해진다. 축농증(부비동염)은 코 속 빈 공간인 부비동과 코로 통하는 연결통로가 막혀 분비물이 부비동 내에 고이는 질환인데, 이 때문에 코가 막히고 누런 콧물이 나오며 목 뒤로 콧물이 넘어가서 기침을 자주 하게 된다. 알레르기비염 역시 마찬가지로 만성일 경우 맑은 콧물이 쉴 새 없이 흘러나와 목 뒤로 넘어가면서 기관지를 자극한다.

후비루 증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코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내가 건조하지 않게 습도를 50% 안팎으로 유지하고, 생리식염수로 코를 세척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선 약물요법이나 수술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역류성인후염에 의한 위산 역류, 목 부위 자극

감기의 일반적인 증상인 발열이나 통증, 피로감, 콧물 등이 없이 기침이나 가래만 열흘 넘게 계속된다면 역류성인후염일 가능성이 높다. 만성기침과 이물감이 주요 증상인 역류성인후염은 역류성식도염과 같은 위산 역류 질환이지만 증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보통 위산 역류 질환이라면 가슴 쓰림 증상을 떠올리기 쉽지만 역류성인후염은 가슴 쓰림이나 신물 올림 등의 증상 없이 기침과 이물감만 나타난다.

역류성인후염은 목에 이물감이 느껴져 기침이 계속 나오는데, 이는 가래가 아닌 위산 역류에 의한 인후 점막 부종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위산이나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를 타고 인·후두까지 거슬러 올라와 목 부위를 자극하면서 기침을 자주 하게 되는 것. 이때 기침 증상을 오래 방치하면 인후두에 손상을 입혀 염증이 심해지는 등 악순환이 계속돼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 목의 이물감 때문에 헛기침을 계속 하면 목소리 변화나 성대폴립 등도 유발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인후두 뒤쪽에 염증이 있을 경우 역류성인후염으로 진단할 수 있는데, 이는 후두내시경으로 간단히 진단이 가능하다. 치료는 증상에 따라 단계별로 시행되는데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을 기본으로 약물치료를 한다. 우선 과식을 삼가고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삼가야 한다. 음주나 흡연, 카페인 섭취 등도 위산 역류를 조장하므로 피한다. 약물 치료에서는 위산 역류를 막거나 완화하는 약제나 위산 분비를 줄이는 약물이 사용된다.

/ 헬스조선 편집팀
hnews@chosun.com
도움말=하나이비인후과병원 주형로 박사

댓글목록

깜씨님의 댓글

깜씨 작성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난아카데미님의 댓글

난아카데미 작성일

아~~네  감사합니다.

풍란초님의 댓글

풍란초 작성일

좋은자료 감사합니다..항상 건강하시고 잘 계시지요??

황토님의 댓글

황토 작성일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黃素님의 댓글

黃素 작성일

정보 감사합니다

심기일전님의 댓글

심기일전 작성일

이런 좋은 정보가 있었군요
잘보고갑니다

탱주님의 댓글

탱주 작성일

감사합니다.

삐돌이님의 댓글

삐돌이 작성일

정보 감사합니다.

해용님의 댓글

해용 작성일

정보 감사드립니다.

임일모님의 댓글

임일모 작성일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