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유정 커뮤니티
HOME    HOME   >   관유정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상추위 기막힌 효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원자 작성일11-06-14 23:00 조회11,604회 댓글17건

본문

 

상추의 기막힌 효능 

◆ 답답한 가슴을 확 뚫어 주는 상추의 효과
- 성질이 차가운 상추, 화병을 풀고 머리를 맑게 해 줘 -
돼지고기와 찰떡 궁합, 불면증 해소와 정력증강 효과 요즘 상추가 제철을
았다. 상추는 한국인이 가장 즐겨 먹는 쌈 채소로는 단연 으뜸이다.
밭에서 막 따온 싱싱한 상추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쌈으로 먹는데
아삭 아삭 씹어 먹는 맛은 일품이다.
그뿐인가 삼겹살을 먹을 때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상추이다.
대중의 음식 으로써 사랑받는 상추가 우리 몸에 좋다는 것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상추가 왜 우리 몸에 좋은지 알아보자.
 
  4838e710ecebd&filename=%EC%83%81%EC%B6%9
 
요즘 상추가 제철을 맞아 한창이다.
세계에서 가장 상추를 많이 먹는다는 우리 국민들.
그러나 상추는 먹으면 졸리다는 사실은 알지만,
상추가 화병을 풀어주고, 머리 를 총명하게 해 준다는 사실은 잘 모른다.
제철 맞은 상추를 많이 드실 것을 권한다.
◆ 상추를 가장 많이 먹는 나라는 단연 대한민국 상추를 재배한 역사는
기원전 4500년경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고대 이집트 ! 피라미드 벽화에
추를 먹는 그림이 그려진 것으로 보아 유추한 것이다.
이건 상추에는 피를 만드는 요소인 철분이 많아 혈액을 증가시키고
피를 맑게 하는 기능이 있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채소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된 식생활은
국물과 김치 그리고 쌈의 문화가 발달했다.
특히, 쌈 문화의 대표적인 것이 바로 상추이다.
세계에서 우리 민족과 같이 상추를 즐겨 먹는 민족은 드물 정도로
우리 민족은 상추쌈을 가장 많이 먹고 있다.
삼겹살을 구워 먹을 때 상추와 곁들이면 느끼한 맛이 사라지고
상큼한 맛이 살아 난다.
 고기를 먹을 때 뿐만 아니라 된장이나 고추장에 상추쌈을 먹으면
잃었던 식욕을 되살리는 역할마저 하니 금상첨화라 하겠다.
  4838e7c1215f5&filename=%EC%83%81%EC%B6%9
잘 자란 적상추의 모습.
차고 싱싱하며 아삭아삭한 맛이 일품인 상추.
잘 씻은 상추 한 잎에 밥과 삽겹살을 얹어 쌈장과 함께 먹는 맛이란
그 자체가 행복한 일이 아닐까 싶다.
 
◆ 머리를 맑게 해주는 상추
상추를 먹으면 머리가 맑아진다. 보통 상추를 먹으면 졸음이 온다고 하여
험생에게는 잘 먹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맞지 않는 이야기다.
보통 상추에는 신경안정, 진통, 최면 작용이 있는‘락투카리움’이라는 성분
이 있기 때문에 상추를 먹으면 일시적으로 졸음이 온다. 상추 잎을 뜯고 나
면 마치 우유처럼 하얀색의 액이 나오는데 바로 그것이 쓴맛을 내는 락투카리
움이라는 성분이다. 하지만, 싱싱하고 시원한 상추를 먹으면 일시적으로 잠
시 졸음은 오지만 그 이후에 는 머리가 맑아져 오히려 총명하게 되며, 열이
솟구쳐 나타나는 통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하얀색 상추는 더 차갑고, 붉은색 상추는 덜 차갑다.
 
◆ 가슴에 뭉친 화병을 풀어주는 상추
요즘처럼 가슴이 답답한 일이 많아 속에 화병이 돋을 때 상추를 먹으면
진정효과를 볼 수 있다. 상추는 가슴의 화병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
다. 차가운 성질이 있는 상추는 열이 많은 소양인이 걸리기 쉬운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뻗치는 화병(火病)을 풀어주는 좋은 식품이다.
특히, 소양인의 화병에 상추를 먹으면 화가 잘 풀리는 효과를 볼 수 있는데,
본초 강목(本草綱目)에 보면, ‘상추는 가슴에 뭉쳐진 화를 풀어주며
막힌 경락을 뚫어 준다’고 쓰여져 있다.
 
  4838e840b7c23&filename=%EC%83%81%EC%B6%9
수확을 마친 상추의 모습
상추는 아랫 잎을 따서 먹고 나면 계속 자라며 수확할 수 있다.
본초강목 등을 보면 상추가 가슴에 맛 답답증을 풀어 주는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 돼지고기와 찰떡 궁합인 상추 고기를 먹을 때 빠지지
    않는 것이 상추이다.
상추에는 고기에 부족한 섬유소와 비타민이 풍부하기 때문에
 영양적으로도 조화를 이루기 때문이다. 특히, 돼지고기와 상추를 함께 먹으
면 콜레스테롤 축적을 막아 동맥경화증과 고혈압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추는 맛과 영양이 풍부하고 기호성이 좋아 천금을 주고 씨앗을 샀다고
해서 조상들은 상추를 ‘천금채’라고 불렀다. 고려시대에는 이역만리
원나라로 려간 궁녀나 시녀들이 상추를 심어서 먹으며 망국의 한을 달랬다
고도 할 정도로 우리 민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 채소이다.
 
◆ 장독대 주변에 상추를 심은 이유는?
일반적으로 상추 밭에서 뱀에 물렸다고 하는 말은 거짓이라는 말이 있다.
이상하게도 상추밭에서는 뱀을 볼 수가 없는데, 그 이유가 있다.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를 보면, ‘상추 밭에는 벌레가 가까이하지 못하
뱀이 상추와 접촉하면 눈이 멀게 된다.’라고 쓰여 있다. 이는 뱀과 상추
가 서로 상극임을 말한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도‘상추에는 독성이 있
어 벌레가 감히 접근하지 못한다. 뱀이 상추와 접촉하면 눈이 멀어 사물을
지 못한다. 만약 사람이 중독되면 생강 즙으로 해독할 수 있다.’라고
쓰여 있다.
 
◆ 다시 한번 느끼는 조상의 지혜 지금은 구경하기 어렵지만,
오래된 시골의 집에 가보면 장독대 근처에 으레 상추 가 심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장독대에는 간장, 된장, 소금 등이 보관된 항아리를 두는 곳
이다. 우리의 어머니들은 아침과 저녁으로 간장, 된장을 덜어내다 음식을 하
였다. 그러다 보면 간장과 된장을 흘리게 마련이다. 이렇게 오랜 세월이 오
래 흐르다 보면 장독대 근처의 흙은 다른 곳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염분이 많
아지게 된다. 뱀은 허물을 벗는다. 뱀이 허물을 벗기 위해서는 소금
즉 염분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 따라서 뱀은 소금 기운이 많은 장독대 근처
에 잘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옛날 소금이나 쌀을 보관하던 광에 뱀이 잘 나
타나는 까닭도 이 같은 이유이다. 우리의 어머니들이 자주 가는 장독대에서
뱀을 본다는 것이 유쾌한 일은 아니기 때문에 뱀이 못 오게 하는 방법으로
추를 장독대 주변에 심었던 것이었다.
우리의 선조들은 상추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장독대 근처에 뱀이
못 오게 하는 방어벽의 개념으로 상추를 사용하였으니 옛 사람들의
합리성과 과학성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4838e8b6dbe06&filename=%EC%83%81%EC%B6%9
 
돼지고기와 궁합이 잘 맞는 상추.
옛날 어머니들은 장독대 주변에 상추를 심었는데 그 이유가 허물을 벗기
위해 염분이 필요한 뱀이 장독대에 오는 것을 막기 위함이란다.
새로운 사실을 접하며 조상의 슬기를 새삼 느끼게 한다.
 
◆ 상추는 잘 씻어 먹으면 농약 걱정 뚝
상추와 같은 생으로 먹는 채소는 대부분 잔류농약을 걱정하게 된다. 하지만, 걱정은 크게 안 해도 된다. 농가에서 수확을 앞두고는 농약을 치지 않기 때문이다.
혹 농약이 묻어 있다 하더라도 수돗물에 약 5분 정도 물에 담가 두었다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먹으면 안전하다. 농촌진흥청 실험 결과, 이 같은 방법으로 씻으면 채소와 과일의 잔류 농약은 대부 분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나친 세! ! 척은 오히려 비타민 등 영양소가 손실될 우려가 있으므로 적당히 씻는 것이 좋다. 그래도 잔류농약에 대한 걱정이 된다면 농약을 사용하지 않거나 적게 사용하는 유기농 채소를 구입해 먹는 것이 좋다.
◆ 상추 이야기
상추는 재배 역사가 매우 오래 되어 기원전 4500년경의 고대 이집트 피라미드 벽 화에 작물로 기록됐으며, 기원전 550년에 페르시아 왕의 식탁에 올랐다는 기록도 있고, 그리스 로마 시대에 중요한 채소로 재배하였다고 한다.
중국에는 당나라 때인 713년의 문헌에 처음 등장하고, 한국에는 연대가 확실하지 않으나 중국을 거쳐 전래되었으며, 중국의 문헌에는 고려의 상추가 질이 좋다는 기록이 있다. 
시골에서 생활한 어린 시절 마당의 텃밭에서 웃자란 상추와 쑥갓 들깨순을 솎아 바구니에 한가득 담아오면 어머니는 부지런히 다듬고 씻고 조물거려서 풋풋한 상을 차려 내셨지요.
상추와 쑥갓은 맛난 쌈장과 함께 바구니에 가득 담겨 쌈거리로,
들깨순은 양파와 잔멸치에 조려져 밥반찬으로 그리고 남은 야채들은 모둠

댓글목록

꼬구미님의 댓글

꼬구미 작성일

어려운 어릴적 시절 찬이없어 상추만 싸먹던 그시절이 생각이 나는군요.....훌쩍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홍화소심님의 댓글

홍화소심 작성일

따뜻한 밥에다 낙지젖갈, 가라비젖갈,창란젖갈 등을 넣어 한쌈하면
별미 입니다.
물론 찬밥 또는 보리밥에 강된장으로 한쌈하는것도.....

들꽃바람님의 댓글

들꽃바람 작성일

갑자기 상추가 먹고 싶어지네요^^
지금도 잊을 수 없는 어린시절..
산골짜기 옆 갈치밭에서 상추를 뜯어 맑은 물에 씻어 된장 찍어 먹던 일이 기억납니다^^
장독대 옆 상추도 생각이 나고..
추억을 생각나게 하는 글 잘 읽었습니다.

일월화님의 댓글

일월화 작성일

그런줄도 모르고 먹기만 했으니..!
이젠 알고 먹으니 참 좋습니다.

꿀벌님의 댓글

꿀벌 작성일

군침이 도네요 ㅎㅎㅎ

수리산님의 댓글

수리산 작성일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입변사랑님의 댓글

입변사랑 작성일

상추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하늘님의 댓글

하늘 작성일

상추 아주 좋은 식품 입니다.
깻잎도 좋다고 하더군요

삐돌이님의 댓글

삐돌이 작성일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심학산님의 댓글

심학산 작성일

비빔밥에 상추만 넣고 비벼도 그냥 먹을만 하더군요 ㅎㅎ

강철병님의 댓글

강철병 작성일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청운님의 댓글

청운 작성일

좋은정보 감사감사 합니다

갯바위님의 댓글

갯바위 작성일

정보 감사합니다..

심기일전님의 댓글

심기일전 작성일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상추를 더욱더 많이 먹어야 겠네요

해용님의 댓글

해용 작성일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군자란님의 댓글

군자란 작성일

상추가 참 깊은 뜻이 있군요...

아녜스님의 댓글

아녜스 작성일

상추가 좋은게 많네요  많이 먹어야겠어요